<aside> 😊 Header, Payload, Signature에 대해정리한 페이지입니다 :)
</aside>
<aside> 🤙 Header
</aside>
<aside> 📢 Payload
</aside>
<aside> ✅ Signature
</aside>
Header
헤더는 JWT 토큰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부분
Payload
01 등록된 클래임(Registered Claim Names)
02 공개 클래임(Public Claim)
- 사용자 정의 클레임으로 공개용 정보를 위해 사용
- 충돌 방지를 위해 URI 포맷을 이용해야 함
03 비공개 클래임(Private Claim)
- 등록된 클래임도 아니며 공개 클래임도 아닌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임의로 지정한 정보를
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용자 지정 클래임
- 비공개 클래임을 조심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등록된 클래임과 공개 클래임도 다르게 충돌이
일어날 수 있기에 주의요함
Signature
- 헤더와 페이로드는 암호화 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JSON 문자열을 base64로 인코딩한 것
- 누구나 디코딩을 한다면 헤어도아 페이로드의 내용을 볼 수 있음
- 누군가 JWT를 탈취하여 수정한 후 서버로 보낼 수 있음. 이경우에 대비에 다른 사람이
위변조 했는지 검증하기 위한 부분
- 서명은 헤더의 인코딩 값, 정보의 인코딩 값을 합친 후 비밀키로 해쉬를 하여 생성